모델링의 특징
추상화(Abstraction) | 대상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한다 |
단순화(Simplification) | 복잡한 현실세계를 그대로 표현하지 않고 보다 단순하게 표현한다 - UML이나 ERD와 같이 제한된 언어나 약속된 표기법을 사용하여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한다 |
명확화(Clarity) | 모델링의 결과는 보는 사람에 다라 서로 다르게 해석되지 않고 대상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호함이 없게 기술한다 |
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
데이터 관점(대상, What) | 업무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집중하여, 어떤 데이터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사용되는지를 모델링하는 것 |
프로세스 관점(처리방법, How) | 업무의 흐름에 집중하여, 업무가 실제로 처리되는 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모델링 하는것(동적 분석, 도메인 분석 기반) |
데이너와 프로세스의 상관 관점 (대상과 처리방법의 상관관계 , Interaction) |
업무를 구성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모델링하는 것(CRUD분석 기반) |
모델링의 세 가지 단계
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(Conceptual Data Modeling) |
가장 높은 추상화 레벨을 가진 모델링으로 업무와 개념 중심으로 포괄적인 수준에서 모델링 수행 EA수립할 때 많이 이용되며, 엔터티(Entity), 속성(Attribute) 도출 |
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(Logical Data Modeling) |
데이터 모델에 대한 키(Key), 속성(Attribute), 관계(Relationship)등을 표현하며 서로 다른 DBMS에 적용이 가능한 수준에서 추상화 레벨을 가지므로 재사용성이 높다 정규화를 통해 중복 데이터를 최소화 한며 식별자 도출 및 관계 정의 수행 |
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(Physical Data Modeling) |
특정 DBMS에 맞추어 구현이 가능한 수준에서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DBMS 성능, 보안, 가용성 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 가장 낮은 수준에서의 추상화 레벨을 가지며, 성능향상을 위해 반정규화 수행 및 테이블, 인덱스, 함수 생성 |
'Maria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엔터티 (0) | 2024.11.17 |
---|---|
[MariaDB] 설치하기 (1) | 2024.1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