쿠버네티스에 대한 개념이 많아 책을 참고하여 기본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
"도커/쿠버네티스를 활용한 컨테이너 개발 실전 입문", "시작하세요! 도커/쿠버네티스" 두 책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
✏️ 쿠버네티스 설치 툴
✓ 개발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
- Minikube
- Docker for Mac/Windows에 내장된 쿠버네티스
✓ 서비스 테스트 또는 운영용도의 쿠버네티스
- kops
- kubespray
- kubeadm
- Eks, GKE등의 매니지드(Managed)서비스
✏️ 쿠버네티스 사용환경에 따른 특징 비교
✓ 자체 서버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설치
- 쿠버네티스를 포함한 모든 인프라 직접 관리
- 모든 관리를 도맡아서 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가 복잡할 수 있음
- kubespray, kubeadm도구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 설치가 가능함
✓ 클라우드 서버 인프라에서 쿠버네티스 설치
- 예를들어 AWS, EC2인스턴스 생성 후 그 위에 쿠버네티스(kubespray, kubeadm, kops) 설치
✓ EKS, GKE등의 매니지드(Managed)쿠버네티스 사용
- 쿠버네티스 설치 및 관리까지 클라우드 제공자 담당
- 별도의 설치없이 실제 서비스 환경 구성 가능
✏️ 쿠버네티스 설치 도구 및 서비스 특징 비교
✓ Docker for Mac/Windows Minikube
- 1개의 노드에서 쿠버네티스 설치 및 사용
- 간편하게 로컬에서 쿠버네티스 기본 기능 테스트 가능
- 쿠버네티스 일부 기능 제한
✓ GKE, EKS 등의 완전 관리형 서비스
- 설치가 필요 없어 가장 쉽게 사용 가능
- 클라우드 플랫폼에 종속적인 기능도 사용 가능
- 클라우드 사용 비용 및 의존성 증가
- 쿠버네티스의 자세한 구성을 학습하기에 적합하지 않음
✓ kubespray, kubeadm
- 온프레미스 환경(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소유, 관리 및 운영) 에서도 쿠버네티스 설치 가능
- 클라우드 인프라에서도 쿠버네티스 설치 가능
- 서버 인프라 및 쿠버네티스 관리가 다소 어려울 수 있음
✓ kops
-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쉽게 쿠버네티스 설치 가능
- 서버, 네트워크 등 각종 인프라도 자동으로 프로비저닝
'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bernetes] 구축 오류 (0) | 2024.04.10 |
---|---|
[Kubernetes] 클러스터 구축 (1) | 2024.01.27 |
[Kubernetes] 기본 개념 (0) | 2024.01.18 |